김부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김부리

인제군 상남면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군(郡)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래 고구려의 기지군(基知郡)이었다가 신라시대에는 신라의 영토에 속하였으며, 고려 시대에는 안변도호부(安邊道護府) 춘주군(春州郡)의 속현으로 기린현(麒麟峴)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춘주군(春州郡)의 속현으로 있다가 광무(光武) 10년(1906)에 인제군 기린면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남면(南面) 김부리(金富里)에 넘겨주고 1945년 38˚선이 그어짐에 따라 상남(上南)과 하남(下南)은 그 해 9월 18일에 홍천군(洪川郡) 신남면(新南面)에 편입되었다가 1954년 수복지구 행정 이양에 따라 다시 인제군 기린면으로 환원되었다.
1973년 7월에 홍천군(洪川郡) 내면(內面)의 미산리(美山里)가 기린면(麒麟面)으로 편입(編入)되었으며 상남1리에는 기린면 사무소 상남출장소(上南出張所)를 두어 상남리(上南里)와 미산리(美山里)를 관활하였다. 1983년 1월 10일 대통령령 제11027호에 의거 상남리(上南里),하남리(下南里), 미산리(美山里)와 남면의 김부리(金富里)를 편입(編入)시켜 기린면 상남출장소에서 상남면(上南面)으로 승격되었으며, 초대(初代) 면장(面張)에는 박남원(朴南遠)이 취임하였다.
행정리는 10개리다. 동, 남, 서쪽으로는 홍천군(洪川郡) 내면(內面), 서석면(瑞石面), 내촌면(乃村面)에 인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기린면(麒麟面)과 남면(南面)에 인접해 있다.

김부리

본래 남면 지역으로 김부동(金富洞), 김보황촌(金寶王村), 김보왕동(金寶王洞)으로 불리웠고 1843년에 김보리(金寶里)라 하였으며 1916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백자동(栢子洞)과 기린면 상남리(上南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김부리(金富里)라 하였다. 행정리수는 2개리다.

각시소
신랑소 옆에 있는 소
갈밭무기
갈대가 많은 마을
감재밭골
김부리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감자밭이 많았다.
거릿말
황병골, 단지골, 갑둔리로 가는 거리에 있는 마을
고든골
김부리 동쪽 곧은 산골짜기에 있는 마을
길향리(吉香里)
단지골 북쪽 길향산 아래 있는 마을
김보리(金寶里)
김부리
김보왕동(金寶王洞)
김부리
김보왕촌(金寶王村)
김부리
김부동(金富洞)
김부리
김부리(金富里)
신라 56대 경순왕의 아들이 이곳에 와 머무르면서 신라 재건을 이룩하고자 김부대왕이라 칭하고 군사를 모집 양병(養兵)을 꾀했다 하여 불려지는 이름이다.
노전동(蘆田洞)
갈밭무기
단지곡(丹芝谷)
단지골
단지곡(丹芝谷)
단지골
단지골
김부리 북쪽에 있는 깊은 골짜기로 단지(斷趾)라는 뜻은 옛날에 죄인을 벌하기 위하여 발을 자르는 것을 뜻하는데 김부대왕 통치하에서 죄지은 사람을 벌하던 곳이라 하여 지은 이름이 아닌가 생각된다.
달발골
김부리 동쪽 양지쪽에 있는 마을
대왕각(大王閣)
거릿말에 있는 사당으로 김부대왕을 위하여 음력 5월 5일과 9월 9일에 취떡과 제물을 차려놓고 마을 사람들이 해마다 제사를 지내왔으며 현재 단오절에는 마을 주민들이 제사를 지내고 중량절에는 신라김씨 종무원 부안(扶安)김씨 대종회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대왕각에는 "경순대왕일자지신위(敬順大王一子之神位)"라 기록된 위패가 모셔져 있었으나 1978년 부안김씨 후손들에 의하여 "신라경순대왕태자김공일지신위(新羅敬順大王太子金公鎰之神位)"로 고쳐 모셨으며 칠제마상 2점이 있다.
대왕당(大王堂)
대왕각
말등바우
옥새바우 북쪽에 있는 마우로 말등과 비슷하다.
문고개
문재
문재
갈밭무기에서 신남으로 가는 고개로 문처럼 생긴 바위가 길 좌우로 우뚝 서 있는 데 연유한 이름
문현(文峴)
문재
발딱고개
김부리에서 정자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고개 옆에 큰 바위가 발딱 일어서 있는데 연유한 이름
백자동(栢子洞)
비둑재 밑에 있는 마을로 큰 밧나무가 있었다.
비둑재1
비둑재가 있는 마을
비둑재2
거릿말에서 백재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산비둘기 집이 많았다고 한다.
상단지곡(上斷趾谷)
상단지골
상단지골
단지골 위쪽 마을
상평(上坪)
웃버덩
솔모정
백재동 가운데 있는 솔숲
수금동
갑둔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수구네미 밑에 있는 마을로 갑둔리의 수구네미와 같은 이름이고 할 수 있다.
신랑소
각시소 동쪽에 있는 소
옥새바우
하단지골 북쪽 산밑에 있는 바위로 2개가 포개져 있는데 김부왕이 옥새를 감췄던 곳이라 하며여러빛깔의 뱀이 가끔 나와 돌아다니는데 마을 사람들은 옥새를 지키는 것이라고 한다.
용소(龍沼)
지랭이 서북쪽에 있는 소로 근처 바위에는 용이 등천한 자국이 나있다고 한다.
웃버덩
거릿말 위 들 옆에 있는 마을
응달말
자당꼴
자당꼴
음지쪽에 있는 골짜기로 산제당이 있다.
지랭이
지형이 지렁이처럼 길게 생겼다.
직동(直洞)
고든골
진소
하단지골에 있는 긴 소
찧소
황병골에 있는 소로 폭포 아래에 있는데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 모양이 방아를 찧는 것 같다고 한다.
하단지곡(下斷趾谷)
하단지골
하단지골
단지골 아랫마을
황병현
황병고개
항병골
황병골의 다른 이름
황병고개
황병골에서 홍천군 두촌면 괘석리로 가는 고개
황병곡(黃丙谷)
황병골
황병골
김부리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황병나무가 무성한데 연유하여 명명된 지명이라고 하나 갑둔향토사적연구회 회원 이태두씨는 황병골로 싸움에서 항복한다는 뜻으로 풀이하고 김부대왕 통치 체제에 의한 싸움에서 유래된 지명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호랑박골
달발골 옆에 있는 골짜기로 호랑이가 새끼를 낳고 살았다는 유래에 의하여 지은 지명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