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군)의 남쪽에 있어 南面(남면)이라 하였으며 두모동(頭毛洞), 건달리(建達里), 신촌리(新村里), 가노리(加奴里), 북평(北平), 청구(靑邱), 음양(陰陽), 구만(九萬), 유본정(楡本亭), 사치(沙峙), 어론(於論), 화탄(禾呑), 소치(所峙), 갑둔(甲屯), 금보옥촌(金寶玉村), 성황거리(城隍巨里), 백자동(柏子洞), 남전리(藍田里), 마노역(馬奴驛), 회둔촌(灰屯村), 반장리(半張里)의 12개 里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改編)에 따라 기린면(麒麟面)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편입하여 斗武(두무), 신월(新月), 관대(冠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갑둔(甲屯), 김부(金富), 정자(亭子), 남전리(藍田里) 10개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45년 38˚선이 생김에 따라 남전(藍田), 두무(斗武), 관대리(冠垈里)는 공산치하(共産治下)에 들어가고 부평(富坪), 어론(於論), 정자(亭子), 갑둔(甲屯), 신풍(新豊), 신월(新月), 김부리(金富里) 7개 里와 인제읍(麟蹄邑)의 원대리(院垈里)와 기린면(麒麟面)의 북리(北里), 진동리(鎭洞里)와 함께 그 해 9월 19일에 홍천군(洪川郡)에 편입되어 신남면(新南面)이라 하고 신풍리의 북쪽 일부를 떼어 신남리를 새로 만들어 8개 리를 관할하였는데 1951년에 수복되어 군정(軍政) 아래에 있다가 1954년 11월 17일 행정 이양에 따라 민정(民政)으로 돌아와 두무(斗武), 신월(新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정자(亭子), 김부(金富), 갑둔(甲屯), 남전(藍田), 관대(冠垈), 신남리(新南里)를 관할하다가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인제군(麟蹄軍) 남면(南面) 두무리(斗武里)를 양구군(陽口郡) 남면(南面) 상산내리(上山內里), 하수내리(下水內里), 춘성군(春城郡) 북산면(北山面) 수산리(水山里)를 인제군(麟蹄郡) 남면(南面)으로 승격되면서 남면 김부리(金富里)가 상남(上南)으로 편입되어 12개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리는 15개리다. 동쪽으로는 기린면(麒麟面), 서쪽은 양구군(陽口郡) 남면(南面), 남쪽은 춘천시(春川市), 북쪽은 인제읍(麟蹄邑)에 닿아 있다. 인제군(麟蹄郡)의 관문(官門)이기도 하다.
본래 양구군 남면 지역으로 1945년 해방 이후 수내리(水內里)를 제외한 전역이 38˚선 이북으로 공산치하에 들어가자 이남인 수내리(水內里)는 춘성군 북산면으로 편입되었다가 1954년 수복지구 임시조치법 공포로 양구군 남면으로 환원되었으며 1973년 수복지구로 인한 행정구역 개편시에 일부 수몰되지 않은 상하수내리가 본군 남면으로 편입되면서 상수내리와 하수내리를 병합하여 상하수내리라 하였다.
난근호(蘭根乎)
난뿌리라고 부른다.
남부리
난뿌리가 난부리로 난부리가 다시 남부리로 변형된 이름
막장골(幕帳谷)
서낭댕이에서 강 건너 속에 있는 마을
물미
상수내리의 으뜸 되는 마을
배나무골
배나무가 많이 있어서 지은 이름
상수내리(上水內里)
수내리의 윗쪽 마을을 말하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춘성군(지금의 춘천시) 북산면의 수상리(水上里) 일부를 병합하여 상수내리라 하였다.
상수내외리(上水內外里)
상수내리
서낭댕이
하수내리의 중심 마을로 큰 성황당이 있다.
수내리(水內里)
1750년경에 상수내리를 수문리라 부르기도 했다.
수상리(水上里)
물 위에 있는 마을로 본래 춘성군 북산면 관할이었으나 1914년에 상수내리와 병합하였다
아랫수내리
하수내리
양구대교(陽口大橋)
신남에서 양구방면으로 약 8㎞쯤 되는 거리에 있으며 1972년 태백산 국토건설국 시행으로 현대건설에서 시공한 교량으로 길이가 393m이고 높이가 48m이다.
옥산도(玉山洞)
난뿌리 남쪽에 있는 마을
옥산포(玉山浦)
옥산동
웃수내리
상수내리
하수내리
수내리의 아래쪽이 되므로 아랫수내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막장골을 병합하여 하수내리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