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둔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갑둔리

인제군 인제읍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君(군)의 남쪽에 있어 南面(남면)이라 하였으며 두모동(頭毛洞), 건달리(建達里), 신촌리(新村里), 가노리(加奴里), 북평(北平), 청구(靑邱), 음양(陰陽), 구만(九萬), 유본정(楡本亭), 사치(沙峙), 어론(於論), 화탄(禾呑), 소치(所峙), 갑둔(甲屯), 금보옥촌(金寶玉村), 성황거리(城隍巨里), 백자동(柏子洞), 남전리(藍田里), 마노역(馬奴驛), 회둔촌(灰屯村), 반장리(半張里)의 12개 里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改編)에 따라 기린면(麒麟面)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편입하여 斗武(두무), 신월(新月), 관대(冠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갑둔(甲屯), 김부(金富), 정자(亭子), 남전리(藍田里) 10개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45년 38˚선이 생김에 따라 남전(藍田), 두무(斗武), 관대리(冠垈里)는 공산치하(共産治下)에 들어가고 부평(富坪), 어론(於論), 정자(亭子), 갑둔(甲屯), 신풍(新豊), 신월(新月), 김부리(金富里) 7개 里와 인제읍(麟蹄邑)의 원대리(院垈里)와 기린면(麒麟面)의 북리(北里), 진동리(鎭洞里)와 함께 그 해 9월 19일에 홍천군(洪川郡)에 편입되어 신남면(新南面)이라 하고 신풍리의 북쪽 일부를 떼어 신남리를 새로 만들어 8개 리를 관할하였는데 1951년에 수복되어 군정(軍政) 아래에 있다가 1954년 11월 17일 행정 이양에 따라 민정(民政)으로 돌아와 두무(斗武), 신월(新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정자(亭子), 김부(金富), 갑둔(甲屯), 남전(藍田), 관대(冠垈), 신남리(新南里)를 관할하다가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인제군(麟蹄軍) 남면(南面) 두무리(斗武里)를 양구군(陽口郡) 남면(南面) 상산내리(上山內里), 하수내리(下水內里), 춘성군(春城郡) 북산면(北山面) 수산리(水山里)를 인제군(麟蹄郡) 남면(南面)으로 승격되면서 남면 김부리(金富里)가 상남(上南)으로 편입되어 12개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리는 15개리다. 동쪽으로는 기린면(麒麟面), 서쪽은 양구군(陽口郡) 남면(南面), 남쪽은 춘천시(春川市), 북쪽은 인제읍(麟蹄邑)에 닿아 있다. 인제군(麟蹄郡)의 관문(官門)이기도 하다.

갑둔리

본래 남면 지역으로 임진왜란 때 군사들이 진을 쳤다하여 갑둔리라 하였다 하는데 1916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소치리(所峙里), 김부동(金富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갑둔리라 하였으며 행정리 수는 2개리다.

갈고개
서낭거리에서 수구네미로 넘어가는 고개
갑둔(甲屯) :
갑둔리
갑둔탑(甲屯塔) :
탑둔지에서 발견된 탑으로 갑둔초등학교에 옮겨져 있다.
김부리고개
수구네미2
김부리5층석탑
탑골에 있는 탑으로 1987년 5월 5일 갑둔향토사적 연구회원 이태두(현직교사)씨가 하대석과 옥신 일부를 발견 오미자농장 정운회 사장의 성금 지원으로 동년 10월21일 복원한 탑이다. 기단부의 면에는 음각된 해서체의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4행34자로 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菩薩戒弟子仇上主/金富壽命長存家/五層石塔命充供/養太平十六年丙子八月日" (보살계제자구상주/김부수명장존가/오층석탑명충공/양태평십육년병자팔월일) 태평이란 연호는 글안 성종 10년(1030)까지 밖에 사용치 않았으나 교통통신이 매우 불편했던 당시 실정으로 보아 건립당시에 연호가 바뀌었음을 몰랐음으로 계속 사용하였으리라 추측되며 태평16년은 1036년이 되므로 신라 패망 백주년이 되는 해인 동시에 마의태자 나이 121세로 사망하던 해와 공교롭게도 같아서 김부대왕과 마의태자가 동일 인물이라는 것이 확실시 되고 있어서 마의 태자의 전설은 전설이 아닌 사실로 밝혀졌다.
맹가곡(孟家谷)
맹가골
맹가골
맹씨가 많이 살았다고 하여 지은 이름으로 마의태자 휘하에 맹장군이 있었는데 맹장군의 후손들이 살았을 것이라고 이곳 주민들은 말한다.
맹개골
맹가골
맹창골
유래를 정확히 알수 없으나 맹가골 내용과 유관한 것으로 생각된다.
늠바우1
소재 산골까지 안에 있는 마을로 늠바우가 있다.
늠바우2
늠바우 마을 위에 있는 바위로 문처럼 생겼다고 하여 문바위라고도 부른다.
떡갈봉
성황거리 북쪽에 위치한 산봉으로 떡갈나무가 무성한데 연유하여 지은 지명이다.
맞는물
셋골에 있는 약수로 피부병에 좋다고 한다.
문바우
늠바우2
문암동(門岩洞)
늠바우가 있는 마을
문지방소
미약골과 원갑둔 사이에 있는 소로 문지방처럼 생겼다.
미야동(美也洞)
미약골
병바우
문지방 소 옆에 있는 바위이며 바탕을 이룬다.
병바위굴
문지방 소 옆에 있으며 굴의 길이가 20m, 넓이가 5m로 6.25때 패망한 인민군이 후퇴당시 한때 은거하였다.
샛골
소재와 원갑둔사이에 있는 마을
서낭거리
원갑둔 동남쪽 들 옆에 있는 마을로 성황당이 있었다. 현재는 이 위치에 학교가 들어서 있다.
성황거리
서낭거리
성황평
서낭거리
소재
원갑둔 북쪽 취봉산 아래에 있는 마을로 소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소치(所峙)
소재
소치리(所峙里)
소재
수구네미1
서낭거리 서쪽에 있는 마을로 소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수구네미2
수구네미에서 김부리를 가는 고개로 김부대왕 수레를 타고 넘어 다녔다 한다.
수레너미1
수구네미1
수구너미2
수구네미2
오미동(五味洞)
오미잣골
오미자동(五味子洞)
오미잣골
옥개골
욕개골
옥토골
서낭거리 동남쪽에 있는 마을
옥토봉
옥토골에 있는 산봉으로 형상이 토끼와 유사하다고 한다. 옛날에 이곳에 한 부부가 살았는데 결혼한지 3년이 되어도 슬하에 자녀가 없어 김부대왕께 찾아가 소원을 빌었더니 김부대왕은 이들 부부에게 절을 짓고 부처님께 백일기도를 드려보라고 일러 주어 부부는 토끼봉에 절을 짓고 백일기도를 드려 두 남매를 얻게 되었으며 남매는 김부대왕이 죽 은 후에 은혜를 갚기 위하여 김부대왕각을 짓고 제사를 지냈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으며 지금도 토끼봉에는 절의 주축돌이 남아 있다고 한다.
오미잣골
수구너미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오미자가 많이 자생했다고 하며 지금도 오미자 농장이 있다.
욕개골
소재 동북쪽에 있다.
욕개동
욕개골
원갑둔
갑둔의 원마을
원막골
서낭거리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하며 농막이 있었다고 전한다.
차유현
수구네미2
천지골
한자표기는 알 수 없으나 토끼봉 윗쪽에 있는 골짜기로 갑둔향토사적 연구회원 이태두(현직교사)씨는 천지곡(天志谷 : 하늘의 뜻, 임금의 뜻), 천제곡(天祭谷 : 하늘에 제사 지내던 골짜기), 천기곡(천기곡 : 임금님의 사업의 기초)으로 김부대왕이 구국의지를 세우고 다진 골짜기로 풀이하면서 김부대왕과 관련되어 생긴 지명으로 추측하고 있다.
촛대바우
원막동에 있는 바위로 모양이 촛대와 비슷하다.
탑골
옛날 탑이 있었다하여 지은 이름
탑두루
탑둔지
탑둔지
갑둔리(갑둔초등학교소재)에서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이름으로 탑이 있었으나 일부는 훼손되고 일부는 갑둔초등학교 교정에 옮겨 놓았다.
탑뜰
탑둔지
토끼봉
옥토봉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