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고사리

인제군 인제읍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군의 소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래 현내면(縣內面)이라고 하여 하도리(下道里), 상도리(上道里), 덕산(德山), 덕적리(德積里), 청계동(?溪洞), 고사동(古沙洞), 7개리를 관할하였는데 1906년에 군내면(郡內面)으로 고치고 상도(上道), 동(東), 남 (南), 북(北), 합강(合江), 덕산(德山), 니(泥), 가아(加兒), 덕적(德積), 고사(古沙), 차평(車坪)의 11개 里로 개편(改編)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통폐합에 따라 동면(東面)의 원대(院垈), 하추동(下楸洞), 이탄(耳呑)을 편입(編入)하여 귀둔(貴屯), 하추(下楸), 원대(院垈), 가리산(加里山), 고사(古沙), 남북(南北), 상동(上洞), 합강(合江), 가아(加兒), 덕산(德山), 덕적(德積)의 11개 리로 개편하고 1916년 인제읍(麟蹄邑)으로 고쳤다. 1948년 38˚선이 생기면서 38˚선 이북 10개 리가 共産 治下로 넘어가고 38˚선 이남 원대리는 홍천군(洪川郡) 신남면(新南面)에 편입되었다가 1951년에 다시 편입되어 11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으며,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9409호에 의거하여 읍으로 승격하였으며 행정리(行정리)는 19개리다. 동쪽으로는 양양군 서면(西面), 서쪽은 남면(南面), 남쪽은 기린면(麒麟面)과 남면 북쪽은 북면에 닿아 있고 군 단위 기관이 집중되어 있다

고사리

본래 동면 지역으로서 고새울, 또는 고사촌(古沙村), 고사동(古沙洞)이라 하였는데 1916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합강리(合江里)와 하추리(下楸里)일부를 병합하여 고사리(古沙里)라 하였다.

고사동(古沙洞)
고사리
고사촌(古沙村)
고사리
고새울
고사리
굿바웃골
피아시 남쪽에 있는 마을로 산에 굴바우가 있다.
굿아웃골
굴바웃골의 변한 지명
냉정터
피아시 남서쪽 강변에서 샘이 솟는데 그 물이 얼마나 찬지 손을 담그고 5분을 견디지 못해 붙여진 지명이다. 생활근거는 고사리가 되지만 행정구역으로는 원대리에 속한다.
노영골
피아시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영골, 영곡이라고도 한다.
다래버렁
고새울에 있는 마을로 다래가 많았다.
대골
순께에서 동쪽 강 건너에 있으며 1960년대까지 민가가 있었으나 지금은 폐동 되었다. 생활근거는 고사리가 되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원대리에 속한다.
명지소
피아시에 있는 소(沼)로 명주실 한 꾸러미가 모자랄 만큼 깊다고 한다.
미음밭
냉정터 옆에 있으며 항상 그늘이 져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밤골
방골
방골
노영골 남쪽에 있는 마을로 산이 사방으로 둘러있어 방처럼 생겼다.
벌바우
장수터 밑에 있는 바위로 벌집이 많았다고 전하나 지금은 도로확포장 공사관계로 폭파되어 사라졌다.
벌바우소
벌바우 밑에 있는 소(沼)
삼바치
텃말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삼밭이 있었다.
삼밧재
삼바치에서 텃말로 넘어가는 작은 고개
삼전치(蔘田峙)
삼밧재
섬밭
장수터와 원대리(院垈里)사이를 흐르는 강 안에 섬처럼 떠있는 밭
순께
고사리 북쪽 내린천 변에 있는 마을로 순채가 많이 자생한다.
순포
순께
승께
순께
신댕이
순께 앞 강 건너쪽에 있는 마을로 지금은 폐동되었다.
영곡(嶺谷)
노영골
영꼴
노영골
용소(龍沼)
장수터에 사는 韓氏가 장사를 낳았다가 화를 입을까 걱정하여 죽이었는데 이 소(沼)에서 용마(龍馬)가 나와서 주인을 찾으며 울고 다니다가 이 소(沼)에 빠져 죽었다는 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율곡(율곡)
방골, 밤나뭇골이라고도 부른다.
장수대(將水垈)
장수터
장수터
피아시 남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에 韓氏 집에서 장사를 낳았는데 장사는 역적이 될 우려가 있다하여 그 부모가 죽였다고 한다.
지름바우
장수터 서남방 내린천 강 건너에 있는 바위로 항시 젖어 있어 미끄럽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 행정구역으로는 원대리(院垈里)에 속한다.
지소
순께에 있는 기다란 소(沼)
창바우
장수터 서쪽 강변에 있는 바위로 창과 비슷하다.
텃말
고새울에 있는 마을
피아산고개
피아실 고개
피아시
피아실고개
피아실
삼바치 남쪽에 있는 마을로 피아실 고개 밑이 된다.
피아실고개
피아실에서 덕적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피나무가 무성했다고 한다.
피야치1(皮也峙)
피아실
피야치2(皮也峙)
피아실 고개
허군재
텃말 위에 있는 마을로 허(許)씨가 터를 잡고 살았다 한다.
허군치(許君峙)
허군재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