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현리

인제군 기린면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군(君)의 동쪽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본래 고구려의 기지군(基知郡)으로 신라 진흥왕(眞興王)(540∼574) 때에는 신라의 영토에 속하였으며, 고려 시대에는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춘주군(春州郡) 속현으로 기린현(麒麟縣)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춘주군(春州郡) 속현으로 현내동(縣內洞), 광조전(光助田), 구을정(仇乙井), 오리동(五里洞), 답동(畓洞), 어리(於里), 하남(下南), 죽천(竹川), 신전(薪田), 김포(金浦), 상남(上南), 왕동(王洞), 문현동(文峴洞), 동리(東里), 방동(芳東), 북리(北里), 치전동(雉田洞) 17개 리를 관할하다가 광식(光式) 10년(1906)에 인제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남면(南面) 김부리(金富里)에 넘겨 주고 군내면(郡內面)의 하추동(下楸洞) 일부를 편입하여 진동(鎭洞),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북(北), 방동(芳東), 7개 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45년 38˚선이 그어짐에 따라 진동리(鎭東里)와 북리(北里)의 일부와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방동(芳東) 5개리는 남면(南面)의 신풍(新豊), 어론(於論), 갑둔(甲屯), 신월(新月), 정자(亭子), 김부(金富), 부평(富平)의 7개 리와 인제읍(麟蹄邑) 관대리(冠垈里)와 함께 그 해 9월 18일 홍천군(洪川郡)에 편입되어 신남면(新南面)의 일부가 되었다. 1954년 수복지구 행정 이양에 따라 인제군(麟蹄郡)에 환원되어 진동(鎭東),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북(北), 방동(芳東) 7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973년 7월에는 홍천군(洪川郡) 내면(內面)의 미산리(美山里)를 편입(編入)시켰으며 1983년 기린면 관할이었던 상남출장소가 면으로 승격되면서 미산리(美山里), 하남(下南)과 상남(上南)이 상남면(上南面)으로 편입되어 현재는 5개 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리(行政里)는 15개 리다. 동쪽은 양양군(襄陽郡) 서면(西面), 서쪽은 남면(南面)과 홍천군(洪川郡) 내촌면(乃村面), 남쪽은 홍천군(洪川郡) 내면(內面)과 인접해 있다

현리

본래 기린면 지역으로 현(縣)이 있었던 곳으로 현동(縣洞)이라 하였는데 1916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북리와 하남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현리라 하였으며 행정리로는 6개리다.

가래곡 :
가래나무가 번성한데 기인한 이름이나 가래(加來)로 잘못 표기되어 왔다.
기린(麒麟) :
고려시대 춘주군 속현으로 있을 때 기린현(基麟縣)으로 개칭하였다.
기린(麒麟) :
태종13년(1413) 춘천군의 관할로 있으면서 기린현(麒麟縣)으로 개칭하였다.
광대버덩 :
잔다리 서쪽에 있는 넓은 들로 경지면적이 3만여평에 이른다.
나팔고개 :
매화동 고개에서 6.25당시 중공군이 나팔을 불었다고 해서 나팔고개라 부른다.
남전곡(南田谷) :
덕교 남쪽에 발달한 골짜기에 비옥한 밭이 있어 지은 지명
냉천(冷泉) :
백암동 서남쪽 산골짜기에 있는 샘으로 피부병에 좋다고 한다.
덕교(德橋) :
덕다리
덕다리1 :
하마로 남쪽에 있는 마을로 다리가 있다.
덕다리2 :
덕다리 마을에 있는 다리
도곡(桃谷) :
복숭아 나무가 많은 골짜기라서 지은 지명
두루미골 :
조롱고개를 지나 강을 건너 오른쪽으로 1㎞가량 들어서면 위치한 골로 예전에 두루미가 도래한데 연유하여 지은 지명
매화동(梅花洞) :
용포 동쪽 들 옆에 있는 마을로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의 못자리가 있다 하여 불러온 지명
◆ 박원굉묘(朴元宏墓) : 하마로에 있는 고려 말엽의 판결사 박원굉의 무덤으로 말을 타고 이곳을 지나려면 말굽이 붙어 움직이지 않는다 하여 말에서 내려서 지났다고 한다.
방태교(芳台橋) :
덕다리2
백암(栢岩) :
잣바우
백암동(栢岩洞) :
잣바우가 있는 마을
상덕교(上德橋) :
상덕다리
상덕다리 :
덕다리 위쪽에 있는 마을
서바수 :
현리 서쪽 강가에 있는 마을
서호(西湖) :
서바수
수진암(水鎭岩) :
덕다리에서 조롱동 동쪽으로 500여미터 지점 기암괴석에 한 스님이 "수진암(水鎭岩)"이라 새겨놓고 언젠가 이곳이 물에 잠길 것이라는 예언을 하고 떠난 후에 수진암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런데 스님의 예언대로 1930, 1965, 1966년에 대홍수로 이곳까지 물이 찼으나 도로 확장공사로 "수진암(水鎭岩)"이라 조각된 기암괴석은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시양곡(始陽谷) :
햇빛이 맨 먼저 비치는 골짜기라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기린중고교에서 내린천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어은동(魚隱洞) :
첩첩산중으로 쌓여 있어 어디서 보나 인가가 있을 것 같지 않아 피난처로 적합하여 강물에 약을 풀어 고기를 잡아도 살아 있는 고기가 있듯이 병란을 피할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은골이라고도 하고 어은동이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한다.
용포(龍浦)1 :
용포 옆에 있는 마을
용포(龍浦)2 :
내린천에 있는 소로 용이 살고 있다고 하여 가물면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우정거리 :
소시장이 있었다고 하여 지어진 지명
은골 :
어은동
이교(泥橋) :
진다리
잣바우 :
백암동에 있는 바위로 모양이 잣고 비슷하다
조롱고개1 :
현리 장터에서 남동쪽으로 방태산을 향하여 양쪽으로 약 2㎞에 자리잡은 마을
조롱고개2 :
조롱고개에 있는 고개로 약 500m의 오르막 고개여서 단숨에 넘기 힘들어 사람을 조롱하는 고개라 하여 지은 이름이나 지금은 훤하게 도로가 나 있어 자취를 감추었다. 유
진다리 :
마을 어귀에 있는 다리
창동(昌洞) :
창말
창등 :
창동 북쪽에 있는 산등성이로 조선시대에 미창(米倉)이 있었다.
창말 :
하마로 동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에 기린현의 창고인 기린창이 있었던 것에 연유하여 지은 이름
창말배터 :
창말에서 서리로 가는 나루터
하덕(下德) :
하덕다리
하덕다리 :
덕다리 아래쪽에 있는 마을
하마로(下馬路) :
현리 남쪽에 있는 마을
현동(縣洞) :
현리
호암동(虎岩洞) :
마을 어귀에 위치한 바위의 모습이 마치 호랑이에 유사한데 연유하여 지은 이름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