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郡)의 북쪽에 위치(位置)하고 있어 북면(北面)이라 하였으며, 본래 원통(元通), 가역리(加歷里), 용대리(龍垈里), 남교역(嵐校驛), 온정(溫井), 송학동(松鶴洞), 한계동(寒溪洞), 풍전동(楓田洞)의 9개 리(里)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폐합에 따라 한계(寒溪), 원통(元通), 월학(月鶴), 용대(龍垈)의 4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다.
1945년 38˚선 이북(以北)이 되어 공산치하(共産治下)에 있다가 1951년에 탈환하여 군작전(軍作戰) 지구로 되었다가 1954년 11월 17일 행정 이양에 따라 민정(民政)으로 돌아왔으나 지금도 용대리의 일부는 군용지(軍用地)로 쓰이고 있으며 행정리(行政里)는 17개 리다.
동남쪽으로 기린면(麒麟面), 서쪽은 동면(東面), 남쪽은 인제읍(麟蹄邑), 북쪽은 서화면(瑞和面)과 인접해 있으며, 상업(商業), 관광(觀光), 군사도시(軍事都市)로 급성장하고 있다.
한계산(寒溪山) 아래 마을이라 해서 한계동(寒溪洞)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에 구원통(舊元通), 관벌, 재내, 쇄리, 자양밭을 병합하여 한계리(寒溪里)라 하였다. 행정리 수리 3개리다. 신라김씨대종원의 기록을 보면 마의태자(麻衣太子) 일행이 서울을 떠난 것은 단기3268(935) 10월 하순이고 지금의 한계리에 도착한 때는 살을 에이는 듯한 추위와 눈보라가 심한 한겨울이었다고 했는데 이들 일행이 몹시 추웠던 것을 되새겨 한계(寒溪)란 이름을 붙이지 않았겠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우리 관내에는 마의태자(麻衣太子)와 관련한 많은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감사놀이터
느와우 동북쪽 냇가에 있는 넓은 바위로 감사가 이곳에서 놀았다는 전설이 있다.
길지기
한계동(寒溪洞) 남쪽에 있는 마을
갈직촌(葛直村)
갈지기의 한자표김명
감투봉
두문골 막바지에 있는 산으로 모양이 감투와 같다.
거북바위
부엉산 아래 강가쪽으로 솟아있는 바위
고원통(古元通)
한계 북쪽에 있는 원통리의 원마을로 조선시대에 역이 있었다. 인제읍지(1843)의 기록을 보면 역마가 1필, 복마가 2필, 노 4명, 비 1명이 있었다.
공기바우
옥녀탕(玉女湯) 위에 있는 묘하게 생긴 바위로 옥녀탕에 왔던 선녀들이 공기 받기를 하고 놀았다 한다.
관벌
고원통(古元通) 남쪽 들 옆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에 관청이 있었다.
관평
관벌과 동일명
구선대(九仙臺)
탕숫골 안 칠음대 밑에 있는 너럭바위로 골짜기 물이 아홉군데에서 떨어지는 폼이 아홉 선녀가 춤을 추는 듯하다.
구용소
남교 동쪽 골짜기 어귀에 있는 여러개의 소(沼)로 구유와 같다.
구원통
고원통과 동일명
느와우
한계리에 있는 골짜기
늪재1
쇠리와 모눗골 사이에 있는 마을로 늪재 아래가 된다. 백담사(白擔寺) 전신인 운흥사(雲興寺)가 이곳에 있었다.
늪재2
갈지기에서 내설악으로 가는 재(峴)로 매우 높다.
못재
늪재와 동일명
단일로(單一路)
고원통(古元通)에서 남교리간 도로를 단일로(單一路)라 했지만 1987년 2차선으로 확·포장됨으로써 이제는 사용되지 않는 지명이다.
대승령(大勝嶺)
자양밭에서 백담사(白潭寺)로 가는 높이 1210m나 되는 큰 고개로 등산로에는 대승폭포가 있다.
대승암터(大勝菴)
대승폭포 상류에 있던 옛 암자터
대승폭포
자양밭 동쪽 산골짜기 안에 있는 폭포로 높이가 88m이다. 폭포 맞은편 언덕 반석에는 구천은하(九天銀河)라고 큰 글씨가 새겨져 있는 데 조선선조때 양봉래(楊逢來)가 썼다고 하는데 삼연 김창흡(三淵 金昌翕), 소유 권상객(小遊 權相客), 금원여사(錦園女士)등이 크게 칭찬하였다고 한다. 전설에는 대승(大乘)이라는 총각이 동아줄에 의지하여 폭포 아래에서 석용을 따고 있었는데 '대승아, 대승아'하고 돌아가신 어머니의 부르는 소리가 들려오므로 위로 올라가 보니 어머니는 보이지 않고 커다란 지네가 동아줄을 쓸어 곧 끊어지게 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구사일생으로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대궐터
한계성내 높은 곳에 있는 언덕으로 된 터(垈)로 전설에는 경순왕(敬順王)이 산성을 쌓고 대궐을 짓고 이곳에 머물렀다고 하나 기록으로나 시각적으로 경순왕(敬順王)이 축성하였다는 것은 이론적으로도 맞지 않고 경순왕(敬順王)의 첫째아들인 마의태자(麻衣太子) 김일(金鎰)이 축성했다는 전설이 옳다고 본다.
독탕
탕숫골 위에 있는 탕으로 독과 같다고 한다.
옹탕
독탕의 이명
두문골
독탕 위쪽에 있는 길고 큰 골짜기
두문곡(杜門谷)
두문골의 한자 표기명
두문폭(杜門瀑)
두문골에 있는 폭포
모눗골
못재 서쪽에 있는 마을로 삼척 김씨네 산소가 목단꽃 같이 생겼다고 해서 목단동(牧丹洞)이라 했다고 전한다.
무지개탕
북탕 위에 있는 탕. 긴 폭포 아래 있어서 폭포에 무지개가 서면 비친다고 한다.
민박촌
쇠리 마을에서 새로 형성된 집단촌으로 민박을 하는 마을이다.
홍탕(虹湯)
무지개탕의 한자표기명
봉바우
봉정암 뒤에 있는 높다란 바위로 봉황새의 모양이다.
부림역(富林驛)
원통리의 다른 이름으로 철종12년(1861)에 간행한 대동여지도에는 부림역으로 기재되어 있다.
부엉산
재내 마을 앞에 있는 산
부흥동(富興洞)
재내 마을에 이명
재내
한계 중심의 마을이며 옛날에 이곳에서 기와를 구워서 사람들이 열을 지어 서서 물 흐르듯 기와를 날랐다고 해서 재내라 명명했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북탕
독탕위에 있는 탕으로 북처럼 생겼다.
사중폭포(四重瀑布)
대승폭포 아래에 잇달아 있는 네 개의 폭포
산주소(散珠沼)
남교 동쪽 산골짜기 안에 있는 비스듬히 떨어지는 폭포로 너럭바위에 물이 부딪치고 미끄러져 한 알이 되었다가 다시 마주쳐 흩어지는 품이 금강산 산주연(散珠淵)과 비슷하다고 한다.
삼선봉(三仙峯)
삼장군봉 위에 있는 산으로 봉우리가 셋이고 매우 수려하다.
삼장군봉(三將軍峯)
느와우에 있는 웅장한 세 봉우리로 세 장군이 머리를 맞대고 회의를 하는 형상이라고 한다.
소마전(小麻田)
우와리 남쪽에 있는 마을로 삼밭(三田)이 있었다고 한다.
소삼밭
소마전의 우리말 이름
쇠리
쇠발골 밑에 있는 마을 우와(牛臥)형의 명당이 있다고 한다.
쇠발골
쇠리 위에 있는 골짜기로 개울 바위에 소발자국이 새겨져 있으며 우족곡(牛足谷)이라고도 부른다.
송곳봉
학서암 북쪽에 있는 산으로 모양이 송곳같이 뾰족하다.
승소(僧沼)
승폭 아래에 있는 소(沼)로 승려가 빠져 죽었다고 한다.
승폭(僧瀑)
탕숫골 위 2㎞ 되는 산골짜기 안에 있는 폭포로 높이가 35m 정도다
안들바우
구용소 위에 있는 바위로 120˚쯤 기울어져 있어서 이곳을 지나는 사람은 이 바위를 안고 돌아가야 한다.
양반바우
송곳봉 옆 냇가에 있는 바위로 바위 위에 서 있는 소나무가 마치 사람이 말을 타고 앉은 것 같다.
유홍굴(兪泓窟)
조선시대 영조때의 각 고을의 읍지를 집대성한 대동여지도(영인본:1979) 인제현편의 고적으로 「兪泓窟 兪相公爲本道 觀察使時 自寒後越 三大嶺立石 題名 于窟至今 稱兪泓窟」(유홍굴 유상공위본도 관찰사시 자한후월 삼대령입석 제명 우굴지금 칭유홍굴)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한계령 도로 확·포장공사시 훼손되어 자취를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유홍(兪泓)은 기계인(杞溪人)으로 자(字)는 지숙(止叔)이고 호(號)는 송당(松塘) 익(謚) 충목(忠穆)이며 중종19년 갑신(1524) 출생으로 명종 계축(1553)에 문과에 급제하고, 경인(1590)에 광국일등(光國一等)에, 신묘(1591)에 평난이등(平難二等)으로 축주되고 기성부원군(圻城府院君)으로 봉하였다. 임진(1592)에 좌상에 오르고 선조 27년에 갑오(1594)에 작고하였다.
어은골
어은골의 한자표기명
어은곡(魚隱谷)
어은골의 한자표기명
연현(淵峴)
늪재의 한자표기명
옥녀탕(玉女湯)
장수대 어귀에 있는 탕이다. 옛날 선녀가 대승폭포에 내려와 목욕을 하고 있었는데 커다란 지네가 나타나 해치려 하므로 이 탕으로 쫓겨왔는데 지네가 이곳까지 쫓아와 해치려 하니 하늘의 옥황상제가 벼락을 쳐 선녀들을 구했다는 전설이 있다.
선호암
옥녀탕 바로 밑 국도상에 있는 커다란 바위인데 옥황상제가 옥녀탕에서 목욕을 하던 선녀들을 지내로부터 보호하려고 벼락을 칠 때 떨어진 바위라고 해서 박종문(朴鍾文)前강원도지사 재임시 이곳을 지나다 명명하였다.
용탕(龍湯)
탕숫골 제일 위에 있는 탕으로 뒷벽에 큰 바위굴이 있으며, 이곳에서 용이 나왔다 하여 가뭄이 계속되면 기우제를 올렸다 한다.
용혈(龍穴)
용탕 뒷벽에 있는 바위굴
와천(瓦川)
재내의 한자표기명
응봉(應峰)
구선대 위에 있는 산
응봉폭(應峰瀑)
응봉 아래에 있는 폭포
자양밭
우와리 동남쪽 한계령 아래에 있었던 마을이었으나 1975년 산림내 불법건물 정리시 폐동되었다.
자양전(紫陽田)
자양밭의 동일명
장수대(將帥臺)
원래 자양밭(紫陽田)이었는데 삼군단장으로 있던 오덕준(吳德俊)장군이 6.25동란 당시 희생된 장군의 명복을 비는 뜻에서 1959년에 한옥산장을 세우고 장수대(將帥臺)라 명명한 후에 붙여진 지명이다.
조탁암(鳥啄岩)
광계 아래에 있는 큰 바위로 새들이 바위틈에 들어 있는 벌레를 잡아 먹으려고 쪼아 놓아서 패였다고 하며 주변에는 쪼아 놓은 바위부스러기가 흩어져 있다고 한다.
지리실(地理室)
남교리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약 5㎞에 달한다.
지리곡(地離谷)
지리실(地離室)의 다른 표기명이며 지리골이라고도 부른다. 오래 전 까지 이곳에는 제단이 있었고 가뭄이 심할 때면 기우제를 올렸다고 한다.
청동벼래(靑銅一)
어두원이 동남쪽에 있는 큰 벼랑. 화천에 있던 비금사를 지금 백담사(白潭寺)의 전신인 한계사(寒溪寺)로 옮길 때 청동화로를 떨어뜨렸던 곳이라는 전설이 있다.
칠음대(七音臺)
승소 위쪽 골짜기에 있는 너럭바위, 물이 바위 위로 일곱구비를 지어 흐르는데 그 소리가 칠음을 낸다고 한다.
탕수동(湯水洞)
탕숫골
학모봉(鶴母峯)
학자봉 뒤에 있는 산으로 학자봉의 어머니와 같다고 한다.
한계령(寒溪嶺)
자양밭 동쪽에서 오색리(五色理)로 가는 큰 고개로 해발 1004m이다 인제(麟蹄), 양양(襄陽)군계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