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풍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신풍리

인제군 인제읍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君(군)의 남쪽에 있어 南面(남면)이라 하였으며 두모동(頭毛洞), 건달리(建達里), 신촌리(新村里), 가노리(加奴里), 북평(北平), 청구(靑邱), 음양(陰陽), 구만(九萬), 유본정(楡本亭), 사치(沙峙), 어론(於論), 화탄(禾呑), 소치(所峙), 갑둔(甲屯), 금보옥촌(金寶玉村), 성황거리(城隍巨里), 백자동(柏子洞), 남전리(藍田里), 마노역(馬奴驛), 회둔촌(灰屯村), 반장리(半張里)의 12개 里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改編)에 따라 기린면(麒麟面)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편입하여 斗武(두무), 신월(新月), 관대(冠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갑둔(甲屯), 김부(金富), 정자(亭子), 남전리(藍田里) 10개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45년 38˚선이 생김에 따라 남전(藍田), 두무(斗武), 관대리(冠垈里)는 공산치하(共産治下)에 들어가고 부평(富坪), 어론(於論), 정자(亭子), 갑둔(甲屯), 신풍(新豊), 신월(新月), 김부리(金富里) 7개 里와 인제읍(麟蹄邑)의 원대리(院垈里)와 기린면(麒麟面)의 북리(北里), 진동리(鎭洞里)와 함께 그 해 9월 19일에 홍천군(洪川郡)에 편입되어 신남면(新南面)이라 하고 신풍리의 북쪽 일부를 떼어 신남리를 새로 만들어 8개 리를 관할하였는데 1951년에 수복되어 군정(軍政) 아래에 있다가 1954년 11월 17일 행정 이양에 따라 민정(民政)으로 돌아와 두무(斗武), 신월(新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정자(亭子), 김부(金富), 갑둔(甲屯), 남전(藍田), 관대(冠垈), 신남리(新南里)를 관할하다가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인제군(麟蹄軍) 남면(南面) 두무리(斗武里)를 양구군(陽口郡) 남면(南面) 상산내리(上山內里), 하수내리(下水內里), 춘성군(春城郡) 북산면(北山面) 수산리(水山里)를 인제군(麟蹄郡) 남면(南面)으로 승격되면서 남면 김부리(金富里)가 상남(上南)으로 편입되어 12개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리는 15개리다. 동쪽으로는 기린면(麒麟面), 서쪽은 양구군(陽口郡) 남면(南面), 남쪽은 춘천시(春川市), 북쪽은 인제읍(麟蹄邑)에 닿아 있다. 인제군(麟蹄郡)의 관문(官門)이기도 하다.

신풍리

본래 남면(南面)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사치리(沙峙里)와 유목정(愉木亭)의 일부를 병합하여 신풍리(新豊里)라 하였다. 1945년 38선이 생김에 따라 피난민이 급증하므로 북쪽 일부와 다릿골, 줄뚜루, 유목정, 진뚜루를 떼어 신남리(新南里)를 신설하였다.

모래고개
새잿골과 신남리 사이에 있는 고개로 지금은 군부대가 자리하고 있다.
사치(沙峙)
모래고개
사치리(沙峙里)
새잿골
사현(沙現)¹
새잿골
사현(沙現)²
모래고개
새재
모래고개
새잿골
신풍 뒤에 있는 마을로 모래고개 아래가 된다.
신풍(新豊)
신풍리
지내비골
지내비골. 비내미골로 불리우고 있으며, 지네가 많아 부르는 이름이라고도 하고, 쥔애비가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는데, 쥔애비가 살아서「쥔애비골」이라 부르던 것이 지내비골로 변했다는 것이 더욱 실감난다.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