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론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어론리

인제군 인제읍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君(군)의 남쪽에 있어 南面(남면)이라 하였으며 두모동(頭毛洞), 건달리(建達里), 신촌리(新村里), 가노리(加奴里), 북평(北平), 청구(靑邱), 음양(陰陽), 구만(九萬), 유본정(楡本亭), 사치(沙峙), 어론(於論), 화탄(禾呑), 소치(所峙), 갑둔(甲屯), 금보옥촌(金寶玉村), 성황거리(城隍巨里), 백자동(柏子洞), 남전리(藍田里), 마노역(馬奴驛), 회둔촌(灰屯村), 반장리(半張里)의 12개 里를 관할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개편(改編)에 따라 기린면(麒麟面)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편입하여 斗武(두무), 신월(新月), 관대(冠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갑둔(甲屯), 김부(金富), 정자(亭子), 남전리(藍田里) 10개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45년 38˚선이 생김에 따라 남전(藍田), 두무(斗武), 관대리(冠垈里)는 공산치하(共産治下)에 들어가고 부평(富坪), 어론(於論), 정자(亭子), 갑둔(甲屯), 신풍(新豊), 신월(新月), 김부리(金富里) 7개 里와 인제읍(麟蹄邑)의 원대리(院垈里)와 기린면(麒麟面)의 북리(北里), 진동리(鎭洞里)와 함께 그 해 9월 19일에 홍천군(洪川郡)에 편입되어 신남면(新南面)이라 하고 신풍리의 북쪽 일부를 떼어 신남리를 새로 만들어 8개 리를 관할하였는데 1951년에 수복되어 군정(軍政) 아래에 있다가 1954년 11월 17일 행정 이양에 따라 민정(民政)으로 돌아와 두무(斗武), 신월(新月), 부평(富坪), 신풍(新豊), 어론(於論), 정자(亭子), 김부(金富), 갑둔(甲屯), 남전(藍田), 관대(冠垈), 신남리(新南里)를 관할하다가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인제군(麟蹄軍) 남면(南面) 두무리(斗武里)를 양구군(陽口郡) 남면(南面) 상산내리(上山內里), 하수내리(下水內里), 춘성군(春城郡) 북산면(北山面) 수산리(水山里)를 인제군(麟蹄郡) 남면(南面)으로 승격되면서 남면 김부리(金富里)가 상남(上南)으로 편입되어 12개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리는 15개리다. 동쪽으로는 기린면(麒麟面), 서쪽은 양구군(陽口郡) 남면(南面), 남쪽은 춘천시(春川市), 북쪽은 인제읍(麟蹄邑)에 닿아 있다. 인제군(麟蹄郡)의 관문(官門)이기도 하다.

어론리

본래 남면(南面)의 지역으로서 어론(於論)이라 하였으며 1916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화탄(禾呑)리를 병합하여 어론리(於論里)라 하였다. 동리 사람들 중에 말다툼이 많아서 어론(於論)이라 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행정리 수는 1개리다.

간인현(艮寅峴)
거니고개라고 많이 부르며 지금은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거니고개
어론 남쪽에서 두촌면 건남리로 가는 고개로 인제군과 홍천군의 경계가 된다. 조선때 고개 아래에 건이원(建伊院)이라는 원집이 있었으며 고개가 낮아서 「놀기 좋기는 합강정·넘기 좋기는 거니고개」라는 노래도 있다.
건이골
거니고개 밑에 있는 골짜기로 예전에는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
건이촌(建伊村)
건이골
건이치(建伊峙)
거니고개
건이현(建伊峴)
거니고개
곽골
절골 옆에 있는 마을
깃대봉
웃말 동쪽에 있는 산으로 세부측량 때 측량 표준기를 꽂은데 연유한 이름이다.
다무리
어론 북쪽에 있는 마을로 집집마다 돌을 쌓아 울타리를 했었다고 하나 지금은 돌로 쌓은 울타리는 찾아보기 힘들고 위치에 따라 아랫다무리, 웃다무리, 새다무리의 세 마을로 나눈다.
다물리(多物里)
다무리
사곡(寺谷)
절골
상다물리(上多物里)
웃다무리
쌍솔배기
쌍 소나무가 있는 곳
새다무리(中多物里)
아랫다무리와 웃다무리의 사이에 있는 마을
속세매기1
화탄리 남쪽에 있는 마을
속세매기2
속세매기 마을에서 두촌면 괘석리의 신흥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속새풀이 많았다.
숯둔
어론 안 마을로 숯을 많이 구웠다고 전해오며, 1988년 강원도 민속 예술 경연대회에 "숯둔골 숯굽기 놀이"를 출전하여 놀이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신수곡(新水谷)
신수골
신수골 :
화탄리 동남쪽에 있는 마을
신수리(新水里)
신수골
아랫다무리(下多物里)
다무리 아랫쪽에 있는 마을
아랫말
웃말 아래쪽에 있는 마을
양골
절골 뒤에 있는 마을로 양을 많이 길렀다고 한다.
어론(於論)
어론리
어론장(於論場)
웃말에 서는 장이였으나 지금은 서지 않는다.
오계탕(五溪湯)
어론에서 화탄리로 가는 물가에 있는 탕으로 잇따라 다섯 개의 탕이 있다고 하여 지은 이름이며 경관이 좋아서 선녀가 내려와 목욕을 했다고 전하다.
웃다무리
다무리 윗쪽에 있는 마을로 상다무리라고도 한다.
웃말
어론의 위에 있는 마을. 예전에 장이 섰다고 하여 장거리라고도 한다.
장거리
웃말
절골
어론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절이 있었다.
중다무리
새다무리
탄곡(炭谷)
숯둔
탄촌(炭村)
숯둔
하다무리
아랫다무리
화탄리(禾炭里)
어론 동쪽에 있는 마을
회곡현(檜谷峴)
횟골고개
횟골고개
절골에서 상수리내로 넘어가는 고개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