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동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상동리

인제군 인제읍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군의 소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래 현내면(縣內面)이라고 하여 하도리(下道里), 상도리(上道里), 덕산(德山), 덕적리(德積里), 청계동(淸溪洞), 고사동(古沙洞), 7개리를 관할하였는데 1906년에 군내면(郡內面)으로 고치고 상도(上道), 동(東), 남 (南), 북(北), 합강(合江), 덕산(德山), 니(泥), 가아(加兒), 덕적(德積), 고사(古沙), 차평(車坪)의 11개 里로 개편(改編)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통폐합에 따라 동면(東面)의 원대(院垈), 하추동(下楸洞), 이탄(耳呑)을 편입(編入)하여 귀둔(貴屯), 하추(下楸), 원대(院垈), 가리산(加里山), 고사(古沙), 남북(南北), 상동(上洞), 합강(合江), 가아(加兒), 덕산(德山), 덕적(德積)의 11개 리로 개편하고 1916년 인제읍(麟蹄邑)으로 고쳤다. 1948년 38˚선이 생기면서 38˚선 이북 10개 리가 共産 治下로 넘어가고 38˚선 이남 원대리는 홍천군(洪川郡) 신남면(新南面)에 편입되었다가 1951년에 다시 편입되어 11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으며,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9409호에 의거하여 읍으로 승격하였으며 행정리(行정리)는 19개리다. 동쪽으로는 양양군 서면(西面), 서쪽은 남면(南面), 남쪽은 기린면(麒麟面)과 남면 북쪽은 북면에 닿아 있고 군 단위 기관이 집중되어 있다

상동리

본래 현내면(縣內面), 군내면(郡內面) 지역으로 상도리(上道里), 하도리(下道里), 동리(東里)로 구분되었으나 1916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이를 통합하여 상동리(上東里)로 개칭하였다. 행정리는 5개리이다.

기룡산(起龍山)
인제읍의 진산으로 그 모습이 용이 엎드려 있는 것 같으므로 복룡산(伏龍山)이라 하였는데 그 후에 엎드려 있는 용보다 일어나는 용이 낫다하여 기룡산이라 고쳤다.
댕댕이 버덩
남북리(南北里)와 경계가 되는 산부리 끝에 있는 버덩으로 댕댕이가 많았다고 한다.
현재 한전출장소가 위치한 곳.
명당마루:
상동리 앞에 있는 큰 들로 명당의 집터가 있다고 하며 경지면적이 일만여평이다.
복룡산(伏龍山)
현재의 기룡산(起龍山)으로 와룡산(臥龍山)으로도 불리웠다.
비봉산(飛鳳山)
내린천(內麟川) 건너 산으로 봉이 날아가는 모양이라서 붙여진 산이름이다.
산정터
내린천(內麟川) 건너 산 위에 있던 정자터로 경치가 좋았던 장소.
상도리(上道里)
상동리(上東里)를 관통하는 국도를 중심으로 해서 남쪽의 길 윗마을을 일컬으는 이름이나 지금은 쓰여지지 않는다.
상도리장(上道里場)
인제장(麟蹄場)
상동(上東)
상동리(上東里).
상두
상동(上東)의 변성이름이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시장께(市場)
인제장(인제장)이 서는 마을.
오사회(烏斯回)
중세기 이후 인제가 맥국의 영향권에 있을 당시의 이름
영소현(靈昭縣)
조선시대초 사용했던 인제현의 다른 이름.
옥토랑
명당마루에 있는 봇도랑으로 지금은 새마을 사업으로 복개가 되었다.
와룡산(臥龍山)
기룡산(起龍山)의 옛 이름으로 복룡산(伏龍山)이라고도 불렀다.
읍창(邑倉)
조선시대의 쌀 창고로 1759년 당시에 그 규모가 29간이나 되었다.
인제(麟蹄)
옛 지명은 저족(猪足), 희제(稀蹄)라 하였으나 돼지보다는 기린이 영물스럽다하여 940년경에 인제현으로 개칭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인제향교(麟蹄鄕校)
본래 상동리(上東里) 북쪽에 있던 것을 광해군때 현감 이치(李峙)가 서쪽으로 옮겼다가, 순조때 현감 신진하(申鎭夏)가 다시 동쪽으로 옮겼는데 1934년 홍수로 인하여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인제현(麟蹄縣)
고려 태조 23년에 희제현을 인제현으로 개칭하였다.
저족현(猪足縣)
인제의 옛 지명으로 지형이 돼지발족 같이 생겼다 하여 지은 이름이다.
하도리(下道里)
상도리의 아랫 마을
희제현(稀蹄縣)
선덕왕 6년에 저족현을 희제현으로 개칭하였다.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