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강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합강리

인제군 인제읍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군의 소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래 현내면(縣內面)이라고 하여 하도리(下道里), 상도리(上道里), 덕산(德山), 덕적리(德積里), 청계동(?溪洞), 고사동(古沙洞), 7개리를 관할하였는데 1906년에 군내면(郡內面)으로 고치고 상도(上道), 동(東), 남 (南), 북(北), 합강(合江), 덕산(德山), 니(泥), 가아(加兒), 덕적(德積), 고사(古沙), 차평(車坪)의 11개 里로 개편(改編)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통폐합에 따라 동면(東面)의 원대(院垈), 하추동(下楸洞), 이탄(耳呑)을 편입(編入)하여 귀둔(貴屯), 하추(下楸), 원대(院垈), 가리산(加里山), 고사(古沙), 남북(南北), 상동(上洞), 합강(合江), 가아(加兒), 덕산(德山), 덕적(德積)의 11개 리로 개편하고 1916년 인제읍(麟蹄邑)으로 고쳤다. 1948년 38˚선이 생기면서 38˚선 이북 10개 리가 共産 治下로 넘어가고 38˚선 이남 원대리는 홍천군(洪川郡) 신남면(新南面)에 편입되었다가 1951년에 다시 편입되어 11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으며,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9409호에 의거하여 읍으로 승격하였으며 행정리(行정리)는 19개리다. 동쪽으로는 양양군 서면(西面), 서쪽은 남면(南面), 남쪽은 기린면(麒麟面)과 남면 북쪽은 북면에 닿아 있고 군 단위 기관이 집중되어 있다

합강리

내린천(內麟川)과 소양강(昭陽江)이 합하는 곳이 되므로 합강(合江)이라 하고, 또는 합강정(合江亭)의 이름을 땄다고도 한다. 1916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이평리(泥坪里) 일부를 병합하였다. 행정리는 3개리다.

검은소
합강리 서쪽에 있는 소(沼)로 깊어서 물빛이 검게 보인다.
느티나무께
느티나무가 있는 마을로 나무의 둘레가 15m가 넘고 수명은 500여년이 넘었으며 보호수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또 이 느티나무는 영험하여 해로운 일을 하면 마을이나 나무를 해친 사람에게 재앙이 따른다고 한다.
덕산다리
소열다리
된숨이
된숨이 버덩
된숨이 버덩
합강리 앞 합강되는 사이에 있는 약 2천평의 버덩으로 양쪽으로 강물이 흘러서 섬처럼 떠 있었으나 지금 수해로 모두 씻겨나가고 돌무더기만 남아 있다.
리빙스톤교
소일평과 덕산리를 연결하는 다리. 6.25 당시 인제지구 한미 합동 작전 중 리빙스톤 중령(당시 포병대대장)이 이끄는 포병 병력이 작전상 후퇴를 하게 되었는데 그 해가 1951년이었다. 홍수로 인하여 범람하는 급류를 건너지 못한 관계로 많은 인명과 보급품, 그리고 장비의 손실을 보았으며 리빙스톤 중령은 중상을 입고 야전병원으로 후송되어 치료 중 사망하였는데 임종 직전에 부인이 입회한 자리에서 이곳에 다리를 놓아 줄 것을 유언으로 남겨 부인이 놓은 다리로 리빙스톤교라 명하였다. 당초에는 교량가설 공사를 미군부대에서 맡았으나 강우량이 너무 많아 공사 추진이 불가능함을 판단하고 원대로 복귀하고 한국군인 3개 중대병력이 투입되어 가설하였다. 당초에는 아이빔 목재를 깔아 가설하고 붉은색 칠을 하여 붉은 다리로도 불려진다. 현재의 교량은 1970년에 육군 제1107야전 공병단에서 가설한 것으로 길이가 148m에 달한다.
만호대(萬戶垈)
만호대
만호터
된숨이 남쪽. 강물이 합류되는 그 안 산에 있는 만호첨사의 터로 성을 쌓았던 흔적을 찾아 볼 수가 있다.
물안골
소열이와 이평리(泥坪里) 사이에 있는 골짜기
미륵(彌勒)
합강정 터에 있는 돌부처. 나무장사를 하던 박명천(朴明天)의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강물에 빠져 있으니 건져달라"하므로 이상히 생각하여 헤엄을 잘치는 김성천(金聖天)에게 부탁하여 강물 안을 찾아보니 빛을 내는 큰 돌기둥이 있으므로 건져내어 부처를 만들어 집을 짓고 모신 뒤로 모든 일이 잘되어 큰 부자가 되었을 뿐 아니라 자식을 못 낳는 여인이 정성으로 빌어 아들을 얻은 뒤로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미륵천(彌勒川)
합강리 앞강의 옛 이름
배채계곡
벼챙이 계곡을 최근에는 배채계곡이라고 부른다.
불근다리
리빙스톤교
소열다리
리빙스톤교
소열이
합강리 북쪽 내린천 변 들 옆에 있는 마을
소일평1(消日坪)
소열이
소일평2(消日坪)
소열이 앞에 있는 들로 5만 7천평에 달한다.
옷바치
만호터 아래 내린천 강변. 옷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이평리(泥坪里)
이평이
이평이
소열이 북쪽 들 옆에 있는 마을로 진흙 구렁이었다.
절골
소열이 서쪽에 있는 산골짜기로 절이 있었다.
중앙단(中央壇)
현재 합강 정자가 위치한 곳에 옛날에 제단이 있었다. 이곳은 강원도의 중심지로 조선시대에는 가뭄이 들거나 질병이 만연할 때면 도내 26관의 관원(현재의 시장·군수)이 이곳에 모여 제례를 올렸다고 전한다.
합강교(合江橋)
합강배터에 놓여진 다리로 1985년 원주지방국토관리청 시행으로 (주)삼호가 시공하였으며 길이는 170m에 달한다.
합강배터1
합강배터 앞에 있는 마을
합강배터2
합강정 앞에서 덕산리로 건너다니던 나루터
합강정1
합강리
합강정2
합강리에 있는 정자
합강정진(合江亭津)
합강배터
합강정터
합강 동쪽 강가에 있는 정자터로 전망이 매우 좋아 "놀기 좋기는 합강정, 넘기 좋기는 거니고개(홍천군 두촌면)"라는 노래도 있다.
홍진포(洪津浦)
합강정 앞강에 있는 포구의 옛 이름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