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서리

인제군 기린면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군(君)의 동쪽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본래 고구려의 기지군(基知郡)으로 신라 진흥왕(眞興王)(540∼574) 때에는 신라의 영토에 속하였으며, 고려 시대에는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춘주군(春州郡) 속현으로 기린현(麒麟縣)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춘주군(春州郡) 속현으로 현내동(縣內洞), 광조전(光助田), 구을정(仇乙井), 오리동(五里洞), 답동(畓洞), 어리(於里), 하남(下南), 죽천(竹川), 신전(薪田), 김포(金浦), 상남(上南), 왕동(王洞), 문현동(文峴洞), 동리(東里), 방동(芳東), 북리(北里), 치전동(雉田洞) 17개 리를 관할하다가 광식(光式) 10년(1906)에 인제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남면(南面) 김부리(金富里)에 넘겨 주고 군내면(郡內面)의 하추동(下楸洞) 일부를 편입하여 진동(鎭洞),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북(北), 방동(芳東), 7개 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45년 38˚선이 그어짐에 따라 진동리(鎭東里)와 북리(北里)의 일부와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방동(芳東) 5개리는 남면(南面)의 신풍(新豊), 어론(於論), 갑둔(甲屯), 신월(新月), 정자(亭子), 김부(金富), 부평(富平)의 7개 리와 인제읍(麟蹄邑) 관대리(冠垈里)와 함께 그 해 9월 18일 홍천군(洪川郡)에 편입되어 신남면(新南面)의 일부가 되었다. 1954년 수복지구 행정 이양에 따라 인제군(麟蹄郡)에 환원되어 진동(鎭東),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북(北), 방동(芳東) 7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973년 7월에는 홍천군(洪川郡) 내면(內面)의 미산리(美山里)를 편입(編入)시켰으며 1983년 기린면 관할이었던 상남출장소가 면으로 승격되면서 미산리(美山里), 하남(下南)과 상남(上南)이 상남면(上南面)으로 편입되어 현재는 5개 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리(行政里)는 15개 리다. 동쪽은 양양군(襄陽郡) 서면(西面), 서쪽은 남면(南面)과 홍천군(洪川郡) 내촌면(乃村面), 남쪽은 홍천군(洪川郡) 내면(內面)과 인접해 있다

서리

본래 기린면의 지역으로 옛 기린현의 서쪽에 있으므로 서리라 하였는데 1916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북리(北里)와 군내면의 하추동 일부를 병합하여 다시 서리라 하였으며 행정리수는 2개리다.

거릿말 :
양지마을
갈밭골 :
서리 북쪽에 있는 마을로 갈밭이 있었다.
곡촌(谷村) :
골말
고촌청용안 :
골말과 은골 사이에 형성된 마을
광재바위 :
양지마을 동북쪽 산모퉁이에 발달한 바위
골말 :
양지말과 음지말 사이에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
김부터(金富垈) :
1930년 무렵 3백만원 상당의 산삼을 이기일(伊起日) 집터에서 캐낸 후 부르게 된 지명
냉장터:
아랫대내 끝쪽에 있는 샘터로 물이 매우 차며 이물에 몸을 씻으면 피부병이 났는다고 한다.
노전동 :
갈밭골
대내 :
서리 동쪽에 있는 마을로 앞으로는 내린천이 흐르고 시누대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돌부처 :
아랫대내에 있는 바위로 높이가 4척이나 된다고 한다.
들은독골 :
봉덕동 서쪽에 있는 마을로 문덕동으로 더 알려져 있다.
막골(幕谷) :
죽천령의 기슭에 있는 골짜기로 농막이 있었다 한다.
머구너미 :
서리에서 남면의 정자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고개가 길어서 지루하므로 무엇을 먹든지 먹고서야 넘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골짜기마다 오동나무가 있었다 하여 오동골이라고도 한다.
문덕동(聞德洞) :
옛부터 덕을 쌓아 그 미담이 널리 알려짐에 따라 부른 지명이다.
봉덕동(鳳德洞) :
웃대내 서쪽에 있는 마을로 산 정상에 위치한다.
봉덕리(鳳德里) :
봉덕동
봉운동(鳳雲洞) :
봉 윗 마을이라 부르다가 한자를 쓰게 됨에 따라 봉운동(鳳雲洞)으로 표기하게 되었으며 이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분지가 마치 봉의 둥우리 같다고 하여 봉덕동(鳳德洞)이라고 했다고도 한다. 지금은 봉운동보다는 봉덕동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대내 :
웃대내
상죽천(上竹川) :
웃대내
소릿고개 :
고개의 경사가 완만하여 오가는 사람들이 "골은 깊다해도 오르기에는 이곳이 편한 곳이야"하고 콧노래를 부르며 다녔다는 곳이라 하여 지은 이름이라고 하며 다른 이름으로는 소래고개라고도 한다.
소리개 :
봉덕동 남서쪽에 있는 마을로 입구 산 위에 높이가 8m에 달하는 바위가 있는데 소리개가 잘 깃든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소석각곡(小石角谷) :
옛 지명으로 어은곡에 있는 바위의 형태에 유래하여 부른 골짜기 이름
아랫대내 :
대내 아랫쪽에 있는 마을
양지말 :
웃대내 양지쪽에 있는 마을
양지촌(陽地村) :
양지말
어리(於里) :
봉은동과 봉덕동에 걸쳐 있는 마을
어은곡(魚隱谷) :
옛부터 피난처였다고 하여 지은 이름으로 '은골'이라고도 한다.
오동곡 :
머구너미
웃대내 :
내대 윗쪽에 있는 마을
은골 :
어은곡
음지말 :
서리 동쪽 음지쪽에 있는 마을
음지촌(陰地村) :
음지말
응달말 :
음지말
입석동(立石洞) :
소리개
죽천(竹川) :
대내
죽천령(竹川嶺) :
하죽천에서 배를 건너가면 있는 그리 험하지 않은 령으로 정상에 오르면 서리와 북리 궁동 일대를 관망할 수 있다.
하대래 :
아랫대내
하죽천 :
아랫대내
항성골 :
항음곡
항음곡(亢陰谷) :
노전동에 있는 골 이름으로 항성골이라도 부른다.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