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북리

인제군 기린면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군(君)의 동쪽에 위치(位置)하고 있으며 본래 고구려의 기지군(基知郡)으로 신라 진흥왕(眞興王)(540∼574) 때에는 신라의 영토에 속하였으며, 고려 시대에는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춘주군(春州郡) 속현으로 기린현(麒麟縣)이라 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춘천도호부(春川都護府) 춘주군(春州郡) 속현으로 현내동(縣內洞), 광조전(光助田), 구을정(仇乙井), 오리동(五里洞), 답동(畓洞), 어리(於里), 하남(下南), 죽천(竹川), 신전(薪田), 김포(金浦), 상남(上南), 왕동(王洞), 문현동(文峴洞), 동리(東里), 방동(芳東), 북리(北里), 치전동(雉田洞) 17개 리를 관할하다가 광식(光式) 10년(1906)에 인제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남리(上南里)의 일부를 남면(南面) 김부리(金富里)에 넘겨 주고 군내면(郡內面)의 하추동(下楸洞) 일부를 편입하여 진동(鎭洞),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북(北), 방동(芳東), 7개 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45년 38˚선이 그어짐에 따라 진동리(鎭東里)와 북리(北里)의 일부와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방동(芳東) 5개리는 남면(南面)의 신풍(新豊), 어론(於論), 갑둔(甲屯), 신월(新月), 정자(亭子), 김부(金富), 부평(富平)의 7개 리와 인제읍(麟蹄邑) 관대리(冠垈里)와 함께 그 해 9월 18일 홍천군(洪川郡)에 편입되어 신남면(新南面)의 일부가 되었다. 1954년 수복지구 행정 이양에 따라 인제군(麟蹄郡)에 환원되어 진동(鎭東), 상남(上南), 하남(下南), 현(縣), 서(西), 북(北), 방동(芳東) 7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1973년 7월에는 홍천군(洪川郡) 내면(內面)의 미산리(美山里)를 편입(編入)시켰으며 1983년 기린면 관할이었던 상남출장소가 면으로 승격되면서 미산리(美山里), 하남(下南)과 상남(上南)이 상남면(上南面)으로 편입되어 현재는 5개 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리(行政里)는 15개 리다. 동쪽은 양양군(襄陽郡) 서면(西面), 서쪽은 남면(南面)과 홍천군(洪川郡) 내촌면(乃村面), 남쪽은 홍천군(洪川郡) 내면(內面)과 인접해 있다

북리

본래 기린면 지역으로 현리의 북쪽에 있다하여 북리라 하였는데 1916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군내면의 하추동(下楸洞) 일부와 서리(西里) 일부를 병합하여 다시 북리(北里)라 하였으며 행정리로는 3개리다.

간촌(間村) :
샛말
갈강지골 :
하역골 앞 음지쪽 골짜기로 "갈가지"가 많이 서식하였다 하여서 지은 이름
고색골 :
고석골
고석골 :
돌이 많은 골짜기
고석동(古石洞) :
고석골
궁글버덩 :
궁동산 앞 버덩에 있는 마을
궁글버덩 :
궁동산 앞 버덩에 있는 마을
궁동(弓洞)1 :
궁글버덩
궁동(弓洞)2 :
궁동산
궁동산 :
북리에 있는 산으로 활모양이다.
누구미(樓口尾) :
다락구미
다락구미 :
기린면과 인제읍 경계에 있는 마을로 길 아래 후미진 곳이다.
담배골 :
하역 앞골을 가리키며 담배를 많이 재배하였다 하여 지은 이름
답동(畓洞) :
북리에 있는 마을로 논이 많다.
마래기고개 :
옛날 말이 지나가다가 추락한 곳이라 하여 마락골(馬洛谷)이라 이름했는데 오래 전해오면서 마래기 고개로 변하였다.
망태골 :
북리와 진동리 경계에 위치한 골로 그 지형이 망태에 유사한데 연유하여 작은 이름
물아곡(沕我谷) :
상답에 있는 골짜기
상답(上畓) :
답동 위쪽 마을
상역(上驛) :
역골 웃말
샛말 :
상답과 중답 사이에 있는 마을
섬바위 :
상역골 중간 지점에 있으며 볏섬 쌓듯이 바위덩어리가 첩첩이 쌓였다 하여 지은 이름
석장곡(石葬谷) :
죽은자들을 장례 치를 때 나무관 대신 돌을 사용하여 묻었다 하여 지은 이름
속새매기 :
이곳에 속새풀이 무성한데 연유하여 지은 이름으로 지금도 속새가 많이 자생하고 있다.
역골 :
잔다리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시대에 역이 있었다고 한다.
역동(驛洞) :
역골
연락촌(連絡村) :
옛날 관가에서 연락을 다니던 사람들이 이곳에서 쉬어가기도 하고 말발굽을 고치기도하고 다른 말을 바꿔 타고 다니기도 하였다 해서 부르게 된 지명
운리덕 :
운이덕
운이덕 :
역골 동북쪽 높은 지대에 있는 마을로 구름에 덮여 있다고 해서 지은 이름
운이산 :
운이덕 북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799m다.
인명분(麟鳴分) :
기린면 동북쪽에 있는 역골을 가리키며 이 골짜기에서 기린이 울었다고 해서 인명골이라고도 하며 기린면이 이곳에서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하여, 옛날 사람들은 사슴이 이곳에서 백일을 묵으면 기린이 된다고 믿었다 한다.
장수바위 :
인명곡에 있는 바위로 장수가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다.
중답(中畓) :
상답과 하답 중간에 있는 마을
중역(中驛) :
역골 중간 마을
칡시골 :
칡이 곱게 뻗어 나간 곳을 응달 칡시골, 양지쪽으로 뻗어 나간 곳을 양지 칡시골이라고 부르며 현재 포사령부 앞 골을 말한다.
토현(土峴) :
흙고개2
하답(下畓) :
답동 아래쪽에 있는 마을
하역(下驛) :
역골 아랫말
한곡(閑谷) :
풀이 무성하여 꼴을 잠시면 벨 수 있어 남은 시간을 한가한 기분으로 쉴수 있다하여 지은 이름
할미바위 :
하역 앞골에 위치하였으며 모양이 할미꽃과 비슷하다하여 지은 바위 이름
함정골 :
산짐승이 많아 짐승을 잡기 위하여 주민들이 함정을 판 자리가 많아서 함정골이라 한다.
황개골 :
옛날 이곳에 살고 있는 심운석이라는 사람이 누런개를 많이 사육했다는데 연유하여 지은 이름
황토고개 :
흙고개2
흙고개1 :
흙고개 밑에 있는 마을
흙고개2 :
하답에 있는 고개로 돌이 없고 황토 흙으로만 되었다.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